-데이터 패킷*의 출처와 목적지를 표시하여 데이터 라우팅을 담당합니다.IP 덕분에 네트워크 간 통신이 가능합니다.따라서 IP는 네트워크 계층(계층 3) 프로토콜로 간주됩니다.
또 다른 예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패킷의 전송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보장합니다. 따라서 TCP는 전송 계층(계층 4) 프로토콜로 간주
TCP: 앞서 설명한 것처럼 TCP는 안정적인 데이터 전달을 보장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입니다.TCP는 IP와 함께 사용하기위한 것이며 두 프로토콜은 종종 TCP/IP로 함께 참조됩니다.
HTTP: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은 대부분의 사용자가 상호 작용하는 인터넷인 월드와이드웹의 기초입니다.장치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HTTP는 애플리케이션(예 : 브라우저)이 추가 해석 없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애플리케이션 계층(계층 7)에 해당합니다.OSI 모델의 하위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컴퓨터의 운영 체제에서 처리됩니다.
HTTPS: HTTP의 문제점은 암호화되지 않아서 HTTP 메시지를 가로채면 모든 공격자가 읽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HTTPS(HTTP Secure)는 HTTP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이 문제를 해결합니다.
TLS/SSL: 전송 계층 보안(TLS)은 HTTPS에서 암호화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TLS는 이전에는 보안 소켓 계층(SSL)이라고 불렸습니다.
UD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은 전송 계층에서 TCP보다는 더 빠르지만 안정성이 떨어지는 대안입니다.UDP는 빠른 데이터 전달이 가장 중요한 비디오 스트리밍 및 게임과 같은 서비스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네트워킹에서 프로토콜은 데이터 서식 지정 및 처리를 위한 규칙 세트입니다.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컴퓨터의 공통 언어와 같습니다.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는 아주 상이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서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
통신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입니다. 통신 프로토콜은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표준 규칙과 절차의 집합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문서를 모두 규정하는 말입니다.
표준화된 프로토콜은 컴퓨터가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언어와 같습니다.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온 두 사람이 서로의 모국어를 이해하지 못하지만, 공유하는 제 3 언어를 사용하여 소통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합니다.
두 번째 컴퓨터에서도 그 포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유엔에서 전 세계의 대표자들이 서로 의사 소통하기 위해 6개의 공식 언어에 의존하는 것처럼 통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컴퓨터에서 IP를 사용하고 다른 컴퓨터에서 이 프로토콜을 모르면 통신할 수 없습니다.
프로토콜
프로토콜은 컴퓨터 내부에서, 또는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입니다. 기기 간 통신은 교환되는 데이터의 형식에 대해 상호 합의를 요구합니다. 이런 형식을 정의하는 규칙의 집합을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등을 규정
의미(Semantics) :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
시간(Timing) :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
단편화와 재결합
송신 측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전송에 알맞은 일정 크기의 작은 블록으로 자르는 작업을 단편화(Fragmentation)이라 하고, 수신 측에서 단편화된 블록을 원래의 데이터로 모으는것을 재결합(Reassembly)
캡슐화
캡슐화(Encapsulation)는 단편화된 데이터에 송,수신지 주소, 오류 검출 코드, 프로토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콜 제어 정보 등의 정보를 부가하는 것으로, 요약화라고도 합니다.
- 대표적인 예가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의 HDLC프레임입니다.
- 정보 데이터를 오류 없이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해 캡슐화를 수행합니다
흐름제어
흐름제어(Flow Control)는 수신 측의 처리 능력에 따라 송신 측에서 송신하는 데이터의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정지-대기방식,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이용합니다.
오류제어
오류제어(error Control)는 전송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여 데이터나 제어 정보의 파손에 대비하는 기능입니다.
동기화
동기화(Synchroniztion)는 송, 수신 측이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타이밍(Timing)을 맞추는 기능입니다.
순서제어
순서제어(sequencing)는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PDU)에 전송 순서를 부여하는 기능으로, 연결 위주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만 사용됩니다. 송신 데이터들이 순서적으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흐름 제어 및 오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합니다.
주소지정
주소지정(Addressing)은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전송될 수 있도록 목적지 이름, 주소, 경로를 부여하는 기능입니다. 목적지 이름은 전송할 데이터가 가리키는곳, 주소는 목적지의 위치, 경로는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다중화
다중화(Multiplexing)는 한개의 통신 회선을 여러 가입자들이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경로제어
경로제어(Routing)는 송, 수신 측 간의 송신 경로 중에서 최적의 패킷 교환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전송 서비스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사용하도록 하는 별도의 부가 서비스입니다.
- 우선순위 : 특정 메시지를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하여 메시지 단위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메시지가 먼저 도착하도록 합니다.
- 서비스 등급 : 데이터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 등급을 부여하여 서비스합니다.
- 보안성 : 액세스 제한과 같은 보안체제를 구현합니다.
프로토콜의 전송방식
프로토콜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문자방식, 바이트 방식, 비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문자 전송 방식 : 전송 제어 문자를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BSC가 있습니다.
- 바이트 방식 :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Header)에 전송 데이터 프레임의 문자 개수, 메시지 수신상태등의 제어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DDCM이 있습니다.
- 비트 방식 :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고유한 비트 패턴(플래그)을 삽입해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HDLC와 SDLC, LAPB가 있습니다.
'취준 note 2023 > 네트워크,전산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1) | 2023.09.21 |
---|---|
백엔드 개발자가 필요한 네트워크 지식 (0) | 2022.12.27 |
자바의신vol2 - 이제저는 더 뭘 공부해야하는거죠? (0) | 2022.12.26 |